김재호 기자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과 최태원 SK 회장(오른쪽)이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SK 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빌 게이츠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이사장과 만나 차세대 소형모듈원전(SMR)과 백신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22일 SK그룹에 따르면 두 사람은 전날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찬을 갖고 SK가 2대 주주로 참여 중인 미국 테라파워의 SMR 개발 및 상업화 전략, 그리고 10년 넘게 이어져 온 백신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테라파워는 게이츠 이사장이 2008년 설립한 차세대 SMR 전문기업이다.
만찬에는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김무환 SK이노베이션 에너지솔루션사업단장, 최윤정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CEO 등이 함께했다.
최 회장은 “한국과 SK가 테라파워 SMR 상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기반으로 시장 수용성을 높여 나가자”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 정부의 규제 체계와 공급망 구축이 SMR 확산에 핵심”이라며, “SK와 테라파워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도 연쇄 회동을 이어갔다.
이 자리에는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안세진 원전산업정책국장 등이 참석해 한미 협력을 기반으로 한 ‘한국형 SMR 생태계’ 구축 방안이 논의됐다.
테라파워가 개발 중인 ‘나트륨 SMR’은 상압 운전과 무전원 공기냉각 기능으로 안전성이 높고, 열에너지 저장장치와 결합해 출력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와의 호환성이 뛰어나 글로벌 시장에서 경제성과 사업성을 인정받고 있다.
SK 측은 2040년 수백조 원 규모로 성장할 글로벌 SMR 시장 선점을 위해 ▲민간 참여 인센티브 지원 ▲정부 차원의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선진 제도 도입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SK와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테라파워에 2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2대 주주가 되었으며, 지난해에는 한국수력원자력, 테라파워와 함께 차세대 SMR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테라파워는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세계 최초 상업용 첨단 SMR 플랜트를 건설 중이며,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무환 단장은 “SMR은 탄소 감축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라며, “SK이노베이션은 국내 SMR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