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전, 제1차 장기 배전계획 확정…지역 분산형 에너지 전환 본격화
  • 기사등록 2025-07-29 15:30:39
  • 기사수정 2025-07-29 15:31:05
기사수정

사진=경제엔미디어

한국전력이 재생에너지 확대와 지역 분산형 에너지 체계 전환을 위한 ‘제1차 장기 배전계획(2024~2028)’을 수립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제314차)에 보고한 뒤 최종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으로 수립된 장기 배전계획으로, 향후 5년간의 배전망 증설·운영 계획뿐 아니라 관련 기술과 제도까지 포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전은 이번 계획 수립을 위해 전국 173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 발전사업 허가 현황을 전수 조사하고 향후 배전망에 연계될 분산에너지 용량을 예측했다. 

 

그 결과, 분산에너지 연계 용량은 2024년 말 25.5GW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기존 호남권 중심의 분산형 에너지 공급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은 이 같은 증가 추세에 대비해 배전망 적기 연계를 위한 총 10.2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도 밝혔다. 이 중 2조원은 분산에너지 연계를 위한 배전망 확충, 8.2조원은 전기사용자망 설비 보강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전은 정부와 협력해 AI 기반 배전망 운영 인프라(분산e 지능형 인프라) 확대, 전력계통운영 기관 간 협조체계 강화, 운영 신뢰도 기준 개선 등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도 병행한다. 2025년 말부터 제주 지역에서 민간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활용한 지역 유연성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2027년부터 전국 확대 시행에 나설 방침이다. 

 

또, 차기 장기 계획 수립 시 지자체 및 민간 참여 절차도 마련해 실효성 있는 지역 기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하반기 중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2035년까지)’을 발표하고, 한전-민간 협의체인 ‘DSO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기술 및 정책 교류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한전은 “이번 장기 배전계획을 통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 뒷받침하고,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분산형 전력 시스템 기반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과 국민의 안정적 전기 서비스 제공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제1차 장기 배전계획의 주요 내용은 한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7-29 15:30:39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패랭이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