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올해 2분기 우리나라의 대외채무가 외국인의 국채 등 채권 순투자 증가에 따라 7356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 말보다 521억달러 늘어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대외채권도 증가했으나, 순대외채권은 소폭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대외채권·채무 동향’에 따르면,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는 1671억달러로 전 분기보다 177억달러 확대됐고,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도 5685억달러로 344억달러 증가했다.
기말 기준 대외채무 현황 : 통계 출처: 2025년 2/4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 (한국은행, ’25.8.20.)
부문별로는 정부(+302억달러)를 비롯해 중앙은행(+22억달러), 은행(+112억달러), 민간·공공 기타 부문(+86억달러)에서 고르게 외채가 늘었다.
대외채권은 거주자의 해외 채권 투자 확대에 힘입어 1조928억달러로 증가(전 분기 대비 +414억달러)했으나,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3572억달러로 전 분기보다 107억달러 감소했다.
이번 외채 확대는 외국인의 원화표시 상장채권 투자 유입이 결정적이었다. 2분기 동안 외국인은 국고채, 재정증권, 통화안정증권 등을 중심으로 총 26조2천억원을 순투자했으며, 월별로는 4월 11조3천억원, 5월 11조3천억원, 6월 3조6천억원의 순유입이 기록됐다.
외채 건전성 지표는 소폭 높아졌다. 단기외채/총외채 비중은 22.7%로 전 분기(21.9%)보다 상승했고, 단기외채/외환보유액 비율도 40.7%로 집계돼 1분기(36.5%)보다 올랐다. 다만 최근 3년 평균(각각 24.0%, 37.9%) 범위 내에서 안정적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 은행의 외화 상환능력을 보여주는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153.4%로 규제비율(80%)을 크게 상회했다.
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환경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국제 자금흐름이 빠르게 바뀔 수 있다”며, “대외건전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