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우주 발사체 ‘누리호’의 전주기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왼쪽부터) 이상철 항우연 원장,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사진=우주항공청 제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국산 우주 발사체 ‘누리호’의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대한민국 우주산업이 민간 주도 시대로 본격 진입했다.
25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누리호의 설계부터 제작, 발사 운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 기술을 이전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은 국내 최초의 우주발사체 민간 이전 사례로, 향후 민간 중심의 우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항우연 주도로 개발된 한국형 우주 발사체로, 300여 개 민간기업이 참여해 완성한 결실이다. 2023년 세 번째 발사까지 성공하면서 대한민국은 자체 기술로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계약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32년까지 누리호의 제작 및 발사를 수행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확보했다. 계약 대상 기술문서는 총 1만6050건에 이르며, 기술 이전 규모는 약 240억 원에 달한다. 기술 가치는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기술평가기관의 평가를 통해 산정됐다.
향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우연과 협력해 누리호의 연속 발사를 공동 수행하고, 기술 및 노하우 이전은 물론 교육과 세미나도 병행하며 민간 우주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화는 이번 기술 이전을 발판 삼아 우주 수송 서비스, 위성체, 위성 서비스로 이어지는 ‘우주 밸류체인’을 구축해 대한민국 민간 우주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겠다는 방침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항우연의 기술력과 오랜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번 기술이전을 계기로 누리호의 기술적 완성도와 비용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상업 발사 서비스로의 전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 또한 “이번 기술이전은 공공이 축적한 성과를 민간에 이전하는 역사적 분기점이며,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 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기술이 성공적으로 이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한편, 하반기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