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현장/사진=기아 제공
기아는 7월 22일 경기도 광명시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하고, 자사의 첫 전동화 전용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 모델 ‘더 기아 PV5(이하 PV5)’의 개발 과정과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기아가 ‘세상에서 가장 유용한 전동화 모빌리티’를 목표로 내세운 PV5의 상품성과 기술력을 고객에게 직접 알리기 위한 자리로, 철저한 고객 중심 개발 철학이 반영된 다양한 기술 혁신 사례들이 소개됐다.
PV5는 패밀리카부터 캠핑카, 업무용 차량까지 폭넓게 활용 가능한 모델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기아는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맞춘 맞춤형 모빌리티를 구현하기 위해 1000여 개의 사용자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이를 차량 개발에 반영했다.
주석하 기아 MSV프로젝트3실 상무는 “PV5는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공간 활용, 확장성, 연결성의 가치를 구현한 모델”이라며, “기아의 전사적 협업이 만든 혁신의 결실”이라고 말했다.
고객 목소리로 시작된 PBV 개발 혁신
기아는 PV5 개발에 ‘PBV 전용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를 처음으로 적용, 차량 기획 초기부터 고객의 목소리를 수렴했다. 이 과정에서 국내외 일반 소비자, 기업 고객, 공공기관 관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해 사용자 중심의 검증이 이뤄졌다.
특히 교통약자 이동 차량 개발 과정에선 휠체어 이용자와 장애인 택시 운영 관계자들이 직접 차량을 체험하고 개선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낮은 2열 승하차 스텝고 △최대 181cm의 하이루프 실내고 △모듈형 장착 시스템 ‘기아 애드기어’ △좁은 공간에서도 기동이 가능한 5.5m 회전 반경 등의 기능이 구현됐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으로 방향성 확보
기아는 PV5 개발 과정에서 2022년과 2023년에 걸쳐 ‘PBV 파트너스 데이’를 개최, 전 세계 100여 개 기업 고객과 소통하며 상품성, 디자인,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 같은 글로벌 협업을 통해 PV5는 비즈니스별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TCO 최소화·PBV 생태계 구축 통한 실용성 극대화
기아는 PV5를 개발하면서 ‘PBV 특화 개발’, ‘총소유비용(TCO) 최소화’, ‘PBV 생태계 구축’이라는 세 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고객 요구를 체계화했다.
패신저 모델은 다양한 시트 구성(2-3-0, 1-2-2, 2-2-3)을, 카고 모델은 컴팩트·롱·하이루프 등으로 다양화해 실용성을 높였으며, 부품 공용화와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구매 및 운용 비용 절감 효과도 도모했다.
AAOS 기반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오픈소스 플랫폼인 ‘기아 애드기어’, ‘L-Track’ 등을 통해 고객 맞춤형 확장성도 제공한다.
E-GMP.S 플랫폼 기반… 실내 공간·성능 모두 최적화
PV5에는 기아의 차세대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기반의 전동화 플랫폼 ‘E-GMP.S’가 최초로 적용됐다. 이 플랫폼은 부품의 모듈화 및 표준화를 통해 실내 공간을 극대화하고 안전성과 성능을 최적화한다.
배터리 보호 구조, 초고장력강 적용, 더블위시본과 CTBA 서스펜션 시스템 등은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내구성과 승차감을 제공하며, 전륜 120kW 모터 및 3종의 배터리 라인업(NCM 71.2kWh·51.5kWh, LFP 43.3kWh)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한다.
모듈형 차체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도입
기아는 레고 블록처럼 유연한 조합이 가능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PV5에 적용해 최대 16종의 바디 확장을 지원한다. 전면부를 공통 구조로 구성하고, 리어 오버행·쿼터글라스·테일게이트 등을 모듈화해 고객 맞춤형 사양 제작이 가능하다.
이 구조는 정비 효율성과 디자인 다양성을 높이는 한편, 외골격 듀얼 환형 구조를 통해 안전성도 강화했다.
맞춤형 사용자 경험 위한 실내 설계
PV5는 준중형 차체 크기(전장 최대 4695mm)에도 불구하고 2995mm의 휠베이스와 저상 플로어 설계를 통해 대형차 수준의 실내 공간을 제공한다. 승하차 편의성과 최대 5165ℓ의 적재공간, 다양한 평탄화 옵션, 수납공간 등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기능도 대거 탑재됐다.
PBV 컨버전 생태계 구축… 무한 확장 지원
기아는 화성 EVO 플랜트 인근에 ‘PBV 컨버전 센터’를 설립하고, 자체 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고품질 컨버전 모델을 생산한다. 이와 함께 외부 협력사를 위한 ‘컨버전 포털 시스템’, 불필요한 부품을 제거한 ‘도너 모델’도 운영해 효율성과 경쟁력을 확보했다.
향후 기아는 △라이트 캠퍼 △프라임 △냉동탑차 등 다양한 컨버전 모델을 순차 출시하며 고객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 출시 후 글로벌 시장 확대 예정
기아는 오는 8월부터 PV5 패신저(2-3-0)와 카고 롱 모델의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으로, 올해 4분기 유럽 출시를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에 PV5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