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초기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권을 확보할 경우, 자금 조달 가능성이 최대 17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등 이른바 ‘엑싯(exit)’ 가능성도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지식재산(IP)이 스타트업 성장의 핵심 지표로 떠오르고 있다.
창업 초기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권을 미리 확보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1배까지 높아지고,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등 이른바 '엑싯(exit)'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과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21일,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공동 수행한 『초기 창업기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1999년부터 2025년까지 설립된 창업 초기 스타트업 2615개사를 대상으로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과 투자 성과를 분석한 국내 첫 대규모 실증조사다.
분석에 따르면, 특허나 상표 출원을 먼저 진행한 스타트업은 시드 단계에서 자금조달 가능성이 1.7배, 시리즈 A~B 단계에서는 3.1배, 시리즈 C 이후에는 무려 6.3배까지 높아졌다.
지재권 출원 규모에 따른 투자단계별 자금조달 가능성 증가 효과 비교
특히 특허·상표권 출원 수가 20건 이상인 기업의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은 17.1배, 엑싯 성공 가능성은 최대 5.9배까지 증가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지식재산은 외부 투자자들에게 스타트업의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을 증명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며, “IP 기반 창업이 선순환적 성장 구조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략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가 창업 생태계에서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수치로 입증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 향후 정부의 창업 지원 정책과 벤처 투자 전략 수립에도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