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지 기자
대웅제약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다.
대웅제약은 17일, 의료기기 전문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와 함께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의 재사용 제품인 ‘모비케어 리프레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모비케어 착용 모습/사진=대웅제약 제공
모비케어는 19g의 초경량 무선 심전도 기기로, 환자가 일상생활 중에도 최대 9일까지 연속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 단시간 검사로는 놓치기 쉬운 심장 이상을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동안 모비케어를 비롯한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는 환자가 검사 후 병원에 직접 방문해 반납해야 했고, 병원이 직접 소독·관리하는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컸으며, 일회용 기기는 의료폐기물로 소각 처리돼 환경적 비용도 만만치 않았다. 특히 지방 거주 환자는 기기 반납을 위해 병원을 재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었다.
이에 대웅제약과 씨어스테크놀로지는 ‘모비케어 리프레시’에 택배 회수 시스템을 도입했다. 환자는 검사 후 기기를 집에서 간편하게 반납할 수 있으며, 수거된 기기는 전문 리프레시 센터에서 세척, 멸균, 품질 검사를 거쳐 재사용된다.
병원은 리프레시된 기기를 일회용처럼 손쉽게 사용 가능해, 감염 관리와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특히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기존 제품 재사용을 통해 의료폐기물 배출을 크게 줄였으며, 다회용 기기 수준으로 비용을 낮춰 의료기관의 부담도 덜었다.
이 같은 ESG 상생 모델은 기업, 의료진·환자, 사회가 모두 혜택을 공유하는 ‘윈-윈-윈’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도입 1년 만에 서울아산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등 전국 100여 개 의료기관으로 빠르게 확대됐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단기적으로는 원가 부담과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의료기기의 본질적 가치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고려해 모비케어 리프레시를 도입했다”며,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기술 혁신과 ESG 경영을 통해 의료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헬스케어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