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오창 에너지플랜트 전경/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Lithium Iron Phosphate) 배터리 생산을 본격 추진한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청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부터 생산 라인 구축에 착수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 규모는 1GWh이며,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한 협력과 기술 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다.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LG에너지솔루션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국내 최초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국내 ESS 산업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 배터리 산업의 국제 경쟁력이 강화되고, 충북이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 ESS 전지 사업부장 김형식 상무는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에너지솔루션 제품 개발과 제조의 핵심 허브인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라며, “이곳에서의 LFP 배터리 생산은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도전과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국내 유일 LFP 양산 경험…생태계 강화 추진
LG에너지솔루션은 비(非) 중국권 기업 중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24년 중국 남경 공장과 올해 6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대규모 ESS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해 올해 3분기 기준 약 120GWh에 달하는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
회사는 이러한 글로벌 양산 경험과 노하우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이식해 국내 ESS 산업 생태계 발전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아직 국내 양산 체계가 충분치 않은 LFP 소재 분야에 대해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업체와 공동 기술 개발 및 단계적 공급망 협력을 추진해 LFP 배터리 생태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 글로벌 ESS 시장에서 LFP 배터리 ‘대세’
LFP 배터리는 원가 경쟁력이 높고 발화 위험이 낮아 글로벌 ESS 시장에서 안전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최적화된 제품으로 평가된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 등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ESS 시장의 약 90% 이상이 LFP 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돼 있으며, 그 비중은 향후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수주한 다수의 대형 ESS 프로젝트도 모두 LFP 기반으로 진행했다. 특히 자사 LFP 제품은 UL9540A 및 대형 화재 모의시험(Large Scale Fire Test)을 통해 셀 안전성을 입증했다.
시험 결과 열폭주 상황에서도 화염 없이 연기만 발생하고 인접 모듈로의 전이 없이, 유해가스 발생과 폭압 위험도 최소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는 LFP 셀 품질과 함께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모듈·팩 설계 기술이 결합된 성과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안정적인 생산 역량과 검증된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ESS 사업을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