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LS일렉트릭이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북미 시장에 이어 아세안 지역을 차세대 성장 축으로 삼고, 전략 제품과 미래형 전력 솔루션을 앞세워 글로벌 빅테크 고객 확보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오는 10월 8~9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전시회 데이터센터 월드 아시아 2025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 월드 아시아 2025’ 부스 조감도/사진=LS일렉트릭 제공
이번 전시회에서 회사는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구현하다(Shaping the Future of Data Centres)’라는 주제로 8개 부스(72㎡) 규모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UL 인증 데이터센터용 배전반 △모듈러 파워 솔루션 △차세대 직류(DC) 배전 시스템 등 풀 패키지 전력 인프라 솔루션을 선보인다.
UL 인증 확보…데이터센터 최적화 배전 솔루션 공개
LS일렉트릭은 국내 중전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북미 진출에 필수적인 UL 인증을 확보, 글로벌 고객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을 내놓는다. 특히 자회사 전력시험기술원(PT&T)의 PI 테스트를 통해 출하 전 성능 검증을 완료, 신뢰성을 강화했다.
또한, 내진 및 내아크 성능을 갖춘 고압 배전반과 사고 확산을 차단하는 내부 격벽 구조(Form 4b Type 7)의 저압 배전반을 전시해 글로벌 규격을 충족하는 기술력을 강조한다.
모듈러 파워·차세대 DC 시스템 소개
LS일렉트릭은 이번 전시에서 모듈러 파워 솔루션도 공개한다. 이는 기존 전기실을 대체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전력 플랫폼으로, 모든 전력 수·배전 및 제어 설비를 사전 제작 방식으로 구축해 품질과 신뢰성을 높였으며, 납기 단축과 맞춤형 대응이 가능하다.
아울러 고전압 직류(HVDC) 기반의 차세대 데이터센터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반도체 변압기(SST), 반도체 차단기(SSCB), DC-DC 컨버터 등 직류 배전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함께 소개한다. 이는 전력 변환 단계를 최소화하고 분산 전원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세안 시장 확장 박차
LS일렉트릭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세안 지역을 글로벌 데이터센터 신흥 허브로 주목하고 있다. AW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가 동남아 지역에 잇따라 수십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를 발표하면서, 현지 시장 진출 기회를 적극 모색한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LS일렉트릭은 올해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에서만 약 4000억 원 규모의 수주를 달성했다. 복수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용 배전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레퍼런스를 확충하고 있다.
AI 확산 따른 전력 수요 증가 대응
AI 서비스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전력 소모가 급증할 전망이다.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2023~2028년 연평균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서버 적용 시 증가율은 연평균 26~36%에 달할 것으로 분석된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국내 데이터센터 배전 솔루션 1위 기업으로서 축적된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글로벌 빅테크와 신규 협력을 확대 중”이라며 “북미와 아세안을 중심으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