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대한항공-LIG넥스원의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예상도/사진=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이 LIG넥스원과 손잡고 한국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에 도전장을 던졌다. 총 사업비는 약 1조7775억 원 규모로, 제안서는 오는 9월 초 최종 제출될 예정이다.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되면 대한항공은 체계 통합 및 기체 개조·제작을, LIG넥스원은 전자전 장비 개발과 탑재를 맡게 된다.
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전 장비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미국 공군의 EA-37B 외에는 유사 사례가 드문 고난도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전자전기는 적 항공기·레이더·통신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핵심 전략 자산이다. 대한항공과 LIG넥스원은 국내에서 이를 독자적으로 개발 가능한 유일한 기업으로 꼽힌다.
LIG넥스원은 KF-21, 차세대 함정·잠수함 전자전 장비, 신형 백두정찰기 장비 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항공은 민항기 개조·군용화 및 감항인증 역량을 통해 사업 수행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 50여 년간 군용기 체계개발과 성능 개량, 민항기 대규모 개조 사업을 수행하며 기술과 인프라를 축적해왔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B777 여객기와 A330을 화물기로 개조해 감항인증을 획득했고, 최근에는 UH-60 성능 개량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전자전기 개발에는 기체 외부에 대형 안테나 구조물을 장착하는 등 고도의 안정성 확보가 필수다. 대한항공은 김해국제공항 활주로 활용 시험 능력, 정부 인증 격납고, 100여 명의 특수임무기 전문 인력 등 독자적 인프라를 기반으로 안전성과 기술력을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사업이 국내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도 드문 도전 과제라며 “지난 50여 년간 축적한 항공 기술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우리 군의 첨단 전력 확보와 국방력 강화를 이끌고, 나아가 대한민국 방산 산업의 글로벌 위상 제고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