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정부가 디지털 소외계층인 독거 어르신들의 통신비 부담을 줄이고 통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알뜰폰 요금 지원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사진=경제엔미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1일,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본 사업 참여를 위한 수요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부와 지자체, 민간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과기정통부는 사업 총괄을 맡고, 각 지자체는 대상자 선정과 요금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이동통신 3사 및 알뜰폰 사업자들은 독거 어르신 전용의 저렴한 요금제를 설계·제공하고,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우체국망을 활용해 어르신들의 가입 절차를 현장에서 밀착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8월 8일까지 참여 지자체를 모집한 뒤, 선정된 지자체들과 협의를 거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각 지자체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선정된 어르신은 월 1만 원 수준의 요금제를 5~6천 원 정도의 실질 부담으로 2년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요금제에는 데이터 안심 기능(QoS)이 포함돼 있으며, 통신사 지원금 및 우체국 수수료 인하를 통해 저렴한 가격이 책정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알뜰폰 지원사업은 새 정부의 통신기본권 보장 공약을 실현하는 핵심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 모두가 합리적인 비용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