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LG-HY BCM 전경/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31일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11조1962억원, 영업이익은 6797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3%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38.9% 증가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42.6% 늘었다.
차동석 LG화학 CFO(사장)는 “3분기는 석유화학 부문의 흑자 전환, 생명과학 라이선스아웃 선급금 수취,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개선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반영됐다”며, “글로벌 수요 둔화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되고 있지만, 고부가·고수익 중심의 사업 구조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4조4609억원, 영업이익 291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영향과 전방산업 수요 둔화로 매출은 감소했으나, 원료가 하락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과 비용 절감 효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4분기에는 글로벌 수요 부진과 대산공장 정기 보수로 인한 기회 손실이 예상된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8382억원, 영업이익 73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보조금 종료에 따른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전지재료 출하가 줄었으나,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판매는 견조했다. 4분기에는 전지재료 고객사 재고 조정과 전자소재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예상된다.
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3746억원, 영업이익 1006억원을 기록했다. 희귀비만치료제 라이선스아웃 잔여 계약금 수취로 매출과 수익성이 모두 개선됐다. 4분기에는 일회성 수익의 기저효과와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수익성 하락이 전망된다.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6998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보조금 종료 등으로 수요 약세가 이어졌지만,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소형전지 신제품 출하 확대, 비용 절감 노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4분기에는 북미 전기차 수요 둔화와 유럽 내 가격 경쟁 심화가 예상되지만, 신규 제품 라인업과 북미 ESS 대응을 통해 시장 내 리더십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1015억원, 영업손실 20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고객사의 재고 조정으로 매출이 줄었으나, 4분기에는 국내외 작물보호제 판매 확대를 통해 매출과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