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대한항공이 20일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자체 개발한 무인기 3종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대한항공 부스에 전시된 중형 타격 무인기(Loitering Munition) 시제기/사진=대한항공 제공
이번에 공개된 무인기는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 시제기 △중형 타격 무인기 시제기 △소형 협동 무인기 목업(실제 크기 모형)이다. 특히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시제기 제작을 완료하고 시험 비행을 앞둔 단계로, 공개 행사에서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유인 전투기와 다수의 무인기가 편대를 이루는 형태로 운용된다. 미래 전력으로 주목받는 유무인 복합 체계의 핵심 기체로, 미국 등 주요 방산 강국이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한항공이 국내 최초로 저피탐 기능을 갖춘 대형 제트 엔진 무인기의 유무인 복합 체계를 구축할 경우, 한국 방위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방과학연구소와 공동 개발 중인 중형 타격 무인기도 시제기를 공개했다. 앞서 양산 중인 소형 타격 무인기에 이어 중형 타격 무인기를 선보임으로써 무인기 전력 라인업을 확대했다.
대한항공은 내년까지 연구개발을 마무리하고 후속 체계개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위험 지역에 투입되어 임무를 수행하는 소형 협동 무인기 목업도 이번 전시에서 공개됐다.
대한항공은 무인기 플랫폼 개발 및 운용 경험이 풍부한 체계개발 선도 기업으로서 국내외 방산업계에 역량을 알렸다. 전략급 무인기 KUS-FS, 사단 정찰용 KUS-FT, 수직이착륙형 KUS-VS, 소·중형 협동 무인기 KUS-FX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며, 전장 환경과 임무 요구에 맞는 풀 스펙트럼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AI 기반 임무자율화 기술을 무인기 플랫폼에 적용하는 개발도 진행 중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무인기가 스스로 판단하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기존 원격 조종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운용 체계를 구현할 수 있을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이를 위해 미국 안두릴 등 AI 기술 선도 기업과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
50년 이상 축적된 군용기 MROU(정비·개조·업그레이드) 역량도 소개했다. 전자전기, 항공 통제기, UH-60 헬기 등 군용기 성능 업그레이드 사업을 기반으로 미 국방부의 ‘지역 거점 운영 유지 체계(RSF)’ 아태 지역 파트너로서의 역할과 중동·동남아 신시장 진출 가능성을 강조했다.
국토교통부 공동 전시 부스에서는 미래 항공교통(AAM) 운항통제·교통관리 시스템 ‘ACROSS’와 AI 기반 MRO 성과도 함께 전시됐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다양한 무인기 플랫폼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무인기 시대를 선도하는 방산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국산 기술로 개발한 무인기들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는 모습을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서울 ADEX 2025는 10월 17일부터 24일까지 성남 서울공항과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전 세계 35개국 600여 개 업체가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