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최근 10년간 전 세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질 악화와 외식비를 중심으로 한 체감물가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경제인협회/사진=IPC 제공
한국경제인협회가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에 따르면, 20대 청년층 실질소득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1.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30대(3.1%), 40대(2.1%), 50대(2.2%), 60대 이상(5.2%)보다 낮은 수치다. 특히 증가세는 2014~2019년 연 2.6%에서 2019~2024년 1.1%로 급격히 둔화됐다.
한경협은 소득 부진의 배경으로 ‘고용의 질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을 꼽았다. 같은 기간 청년층 실업률은 9.0%에서 5.8%로 하락하고 고용률은 61.0%로 개선되며 양적 성장은 있었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32.0%에서 43.1%로 크게 늘면서 근로소득 증가에 제약이 발생했다. 실제 청년층 근로소득의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 세대 중 최저 수준이었다.
물가 요인도 부담을 키웠다. 최근 5년간(2019~2024년) 청년층 체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2.8%로, 이전 5년간(2014~2019년) 1.1%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음식·숙박비 지출 비중은 22.2%로 확대됐으며, 특히 외식비 상승률은 연 4.0%에 달해 체감물가 상승 기여도가 29.5%를 차지했다.
한경협은 “고용훈련 강화와 기업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하다”며, “외식업체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한 할당관세 적용,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으로 외식물가 안정화에도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분석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MDIS)와 국가통계포털(KOS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대별 소비 패턴을 반영한 자체 ‘체감물가지수’를 산출해 활용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청년층 실질소득 둔화는 단순한 소득 문제가 아니라 소비 여력과 삶의 질에 직결되는 사안”이라며, “정책의 초점을 고용의 질 개선과 생활물가 안정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