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데이터센터와 다중이용시설의 전자파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인체보호 기준 대비 1%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전자파 측정 현장(전자파 시민참여단 참여)/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번 조사는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데이터센터 건립 지연과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됐다.
조사 대상은 데이터센터 6곳과 병원·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 4곳으로, 모두 국제 비전리방사선보호위원회(ICNIRP) 기준을 준용한 국내 인체보호 기준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의 전자파를 기록했다.
국내 60㎐ 고압전선 기준은 833mG이며, 이번 측정치 모두 약 1% 수준으로 일반 생활시설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시민참여단이 참관해 투명성을 확보했다.
과기정통부는 국민 체감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전자파 신호등’을 설치·운영 중이다. 이 장치는 전자파 세기를 청색(50% 미만), 황색(50~100%), 적색(100% 초과)으로 표시하며, 국민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전자파 측정 결과 (인체보호기준 대비[%])/자료제공=과기정통부
설치 전후 설문조사 결과, 안전 체감 지수는 42.1점에서 93.8점으로 상승했으며, 신호등 확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도 88.7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인천 등 26곳 생활시설과 주요 데이터센터 4곳에 신호등이 설치돼 있으며, 앞으로 전자파 갈등이 예상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시설 측정 서비스, 생활 전자파 측정기 대여, 전자파 정보지도 운영, 홍보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민이 직접 안전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