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깜빡 잊은 내 돈, 18.4조원 찾아가세요! - 금융권 공동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 9월 15일 시작
  • 기사등록 2025-09-15 15:06:33
기사수정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9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7주간 전 금융권과 함께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실시한다. 

 이미지=금융위원회 제공

이번 캠페인은 소비자가 잊고 있던 예·적금, 보험금, 투자자예탁금, 신탁, 카드포인트 등 다양한 금융자산을 간편하게 조회하고 필요한 경우 곧바로 이체하거나 현금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숨은 금융자산’은 장기간 찾지 않은 금융자산을 말하며, 올해 6월 말 기준 총 18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규모는 매년 증가 추세로, 2021년 말 15조9천억원에서 2023년 말 18조원으로 불어났다.

 숨은 금융자산 현황 (’25.6월말 기준)/자료제공=금융위원회

캠페인 기간 동안 금융회사들은 영업점, 홈페이지, SNS 등을 통해 포스터와 안내장을 게시하고, 이메일·문자·알림톡 등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조회·환급 방법을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안내 과정에서 신분증 사본이나 계좌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으며, 수수료 명목의 금전 이체나 출처 불분명한 URL 제공도 없으므로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조회는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의 ‘내계좌 통합조회 및 관리’ 메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어카운트인포’를 통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면 모든 금융권의 휴면 금융자산과 대부분의 장기 미거래 금융자산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즉시 환급도 가능하다. 

 

또한, ‘내 카드 한눈에’ 서비스를 통해 미사용 카드포인트를 현금화할 수도 있다.


보험 만기금이나 실기주과실(주권 미정리로 인한 배당금 등)처럼 개별 조회가 필요한 자산은 보험협회의 ‘내 보험 찾아줌’이나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숨은 금융자산은 소멸시효 완성 시 이자가 지급되지 않고, 방치될 경우 금융사고 위험에도 노출될 수 있다”며, “캠페인을 통해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소중한 자산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캠페인 종료 후에는 자산별 환급 실적과 금융회사별 환급 성과도 공개해 환급 노력을 독려할 계획이다.


[경제엔미디어=박철홍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9-15 15:06:33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패랭이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