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정부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를 앞두고 소비자들에게 스미싱 범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정부는 15일 “정부·카드사·은행 등은 소비쿠폰 안내 메시지에 인터넷 주소(URL)를 절대 포함하지 않는다”며, “배너 링크나 앱푸시 기능 역시 제공하지 않으므로 관련 문자를 받으면 절대 클릭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에 악성 앱 주소를 포함해 이용자가 이를 설치하거나 전화를 걸도록 유도, 금융정보와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지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과정에서 탐지·대응한 스미싱 건수는 총 430건으로 집계됐으며, 실제 피해 사례는 없었다.
다만 당시 스미싱 유형 중에는 불법 도박사이트 접속 유도 외에도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앱이 확인됐다. 이 악성 앱은 감염 후 피해자의 주소록을 활용해 주변인들에게 스미싱 문자를 재유포하는 기능까지 포함돼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정부와 카드사, 지역화폐사는 이번 2차 소비쿠폰과 관련해 URL이 포함된 문자나 SNS 안내를 발송하지 않으며, 배너 링크 및 앱푸시 기능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만약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URL을 클릭해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될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 상담센터를 통해 24시간 무료 상담 및 신고가 가능하다.
소비쿠폰 일반문의는 정부민원안내콜센터로 하면 된다.
정부는 오는 9월 12일부터 이동통신사 명의의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해 경각심을 높이고, 소비쿠폰 비대면 신청 페이지 및 은행·지자체 대면 접수창구에도 스미싱 주의 안내를 병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융감독원,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등과 협력해 스미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피해 신고 접수 시 즉시 수사에 착수하는 신속 대응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