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조현 외교부 장관, 미 의회에 “한국 기업 투자 보장 위한 비자 제도 개선 시급” 강조
  • 기사등록 2025-09-12 13:37:09
기사수정

토드 영 상원의원 면담/사진=IPC 제공

조현 외교부 장관이 최근 조지아주 한국 국민 구금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해 미국 투자기업 전용 비자 제도 도입 등 근본적 해결책 마련의 필요성을 미 의회에 강조했다.

 

조 장관은 9월 10~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토드 영(공화·인디애나), 앤디 킴(민주·뉴저지), 빌 해거티(공화·테네시) 상원의원과 잇따라 면담했다고 외교부가 12일 밝혔다.

 

조 장관은 면담에서 “대미 투자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우리 전문직 인력들이 대거 구금되는 상황이 발생해 국민들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며 “외교장관으로서도 무거운 마음으로 협의에 임해왔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신속한 지시와 미 관계당국과의 원만한 협의를 통해 한국 국민들의 출국 절차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특히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 공약 실현을 위해서는 우리 인력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근본적 재발 방지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루비오 국무장관과의 면담에서 미국 내 투자 기반 활동을 보장하는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 도입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한미 워킹그룹 신설을 제안했으며, 관련 협력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미 의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미 상원의원들은 이번 사건이 한미 간 경제 협력과 한국 기업 투자 촉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이들은 한미 양측이 유사 사례 방지를 위해 한미 워킹그룹 신설 등 장기적 해법을 모색하기로 한 점을 환영하며, 필요 시 의회 입법 등 제도적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앤디 킴 의원은 사건 발생 초기부터 위로 메시지를 발신하며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해왔다고 소개했다. 그는 “최근 방한 후 미 백악관에 접촉해 한국의 막대한 투자에도 비자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문제 해결을 독려했다”며, “사건 직후 구금된 한국 국민들이 신체속박 없이 자발적으로 출국할 수 있도록 매일 촉구해왔다”고 밝혔다.

 

빌 해거티 의원은 “한국 기업의 공장 건립 과정에서 설치되는 기계들은 독점적 장비로 특별 취급이 필요하다”며, “전문 인력들의 방문은 지역 일자리를 뺏는 것이 아니라 공장 설립을 신속히 마무리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면담에서 상원의원들은 한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축하하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먼저 방문해 한미일 협력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정상회담 후속 조치 및 향후 고위급 외교 일정 추진에 필요한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국회와 미 상하원 코리아 코커스, 한미 의원연맹 등을 통한 의원외교는 양국 협력 채널을 심화·확대하는 데 유익하다”며, 의원들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이에 토드 영 의원은 코리아 코커스 회원 확대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으며, 킴 의원과 해거티 의원은 한미·한미일 의원외교 활성화를 위해 초당적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9-12 13:37:09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패랭이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