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환경부가 36년에 걸쳐 추진한 전국 지하수 기초조사가 마침내 완료됐다.
환경부는 9월 3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전국 지하수 기초조사 완료 선포식’을 열고, 국가 단위 지하수 지도의 완성을 공식 선언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1990년 시범조사로 시작해 1995년 본격화된 이후, 전국 167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의 부존 특성, 수위, 수질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하수지열협회 등 전문기관들이 참여해 장기간에 걸친 연구를 수행했다.
완성된 전국 지하수 지도는 서울에서 제주까지 지역별 물길과 지하수 자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반 자료로, 향후 국가 통합 물 관리 정책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선포식에는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해 기념영상 상영과 공연, 조사 36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대국민 지하수 빅데이터 공모전 포스터
아울러 지하수 조사에 기여한 유공자 5명에 대한 표창 수여와 ‘대국민 지하수 빅데이터 공모전’ 최종 수상작 7팀 시상식도 진행된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56건이 접수돼 14개 작품이 전시되고 최종 7개 팀이 수상하게 된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전국 지하수 물길지도의 완성은 국내 수자원 관리 역사에 남을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는 유역단위 조사로 전환해 지하수를 포함한 통합 물 관리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