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홍 기자
사진=경제엔미디어
행정안전부가 29일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의 2025년 상반기 영업실적(잠정)을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과 가계대출 총량 규제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영향으로 순손실을 기록했다.
행안부 발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총자산은 288조4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0.1%(2천억 원) 줄었으며, 총수신은 260조 6천억 원으로 2조 2천억 원(0.9%) 증가했다.
총대출은 181조 7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조 원(1.1%) 감소했다. 기업대출이 2조 9천억 원(2.7%) 줄어든 반면, 가계대출은 9천억 원(1.2%) 늘었다.
자산 건전성 지표는 다소 악화됐다. 전체 연체율은 8.37%로 지난해 말 대비 1.56%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전년 동기 상승 폭(+2.17%포인트)보다는 완화된 수준이다.
순자본비율은 7.68%로 지난해 말보다 0.57%포인트 하락했으나, 규제 비율(4% 이상)을 상회하며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손익 면에서는 1조328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연체채권 매각과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대출채권 관련 비용(1조2833억 원)이 크게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예수금과 유동성은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보였다. 예수금은 260조6천억 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가용 유동성은 70조4천억 원으로 시장 충격에도 대응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행안부는 향후 자산관리회사를 통해 부실채권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부실 우려가 있는 금고는 인근 금고와 합병을 추진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 금융당국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새마을금고법」 개정에 따른 부실금고 적기 시정조치와 임직원 직접 제재 등 감독 권한도 적극 행사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순손실이 발생했지만 순자본비율이 규제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등 손실흡수 능력은 안정적”이라며, “예대율 관리와 경영 효율화를 통해 내년부터는 손실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박철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