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국토교통부가 9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안전관리 대책을 일부 보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이후 3월 1일부터 시행 중인 기존 대책을 개선한 것으로, 안전성과 승객 편의를 동시에 고려한 것이다.
오는 9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에 대한 기내안전관리가 강화된다.
기존에는 단락(합선) 방지를 위해 비닐봉투를 제공했으나, 환경오염 우려가 지속되면서 이번 보완안에서는 비닐봉투 제공을 중단하고, 절연테이프를 항공사 수속카운터, 보안검색대, 탑승구, 기내 등에서 필요 승객에게 제공한다. 승객이 스스로 다른 단락 방지 조치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국적항공사 모든 항공기에는 기내 화재 발생 시 보조배터리를 안전하게 격리할 수 있는 격리보관백을 2개 이상 필수 탑재해야 한다.
아울러 기내 선반 외부에는 온도감응형 스티커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내부 온도 상승 시 색 변화를 통해 조기 화재 감지가 가능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승무원 훈련도 강화한다. 실제 소화기 사용을 포함한 다양한 기내 화재 상황을 가정한 진압 훈련을 실시하고, 항공사들은 관련 훈련 매뉴얼을 개정할 예정이다.
승객 안내와 홍보도 강화해, 탑승 시 선반보관 금지 등 안전수칙을 구두 및 안내방송으로 반복 안내한다.
국제협력도 이어진다. ICAO 등 국제기구와의 논의를 통해 보조배터리 안전관리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부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이번 보완방안은 승객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기내 화재 위험 관리와 대응을 강화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모니터링과 의견 수렴을 지속하고, 국제 기준과 조화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9월 한 달간 항공사의 보조배터리 안전관리 이행 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사업개선명령 등 조치를 통해 이행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