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조선 후기 산성, 거제 수정산성(巨濟 水晶山城)이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됐다.
거제 수정산성 원경/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수정산성은 해발 143m 수정산 정상부에 자리한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성벽 전체 둘레는 약 450m다.
국가유산청은 수정산성은 그동안 11차례의 시·발굴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신라의 초기 성벽과 고려·조선시대 성벽이 함께 확인됐으며, 또한 성곽 축조 기술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특히 성내 「수정산성축성기」 비석에 따르면, 성의 최종 수축 시기는 고종 10년(1873년)으로, 기록을 통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우리나라 산성 중 가장 늦게 축성된 산성으로 알려졌다.
당시 외세의 침입에 대비해 중앙 정부의 지원 없이 거제도민과 거제부사 송희승의 힘만으로 쌓았다는 점에서 역사적·상징적 가치가 뛰어나다.
성내 건물지와 동서문지는 조선후기 성곽 구조와 축조 수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1호 건물지는 온돌이 없고 장식기와가 사용돼 창고나 관사 등 특수 목적 건물로 추정되며, 당시 고급 재료였던 석회가 다량 사용된 점도 주목된다.
또한, 수정산성의 초축 성벽에서 확인되는 세장방형 가공 성돌, 바른층쌓기, 층단식 원형집수시설 등을 통해 성 최초 축성 시기를 6세기 후반~7세기 초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신라가 남해 지역 방어체계를 구축하던 시점을 보여주며 학술적 가치가 크다.
경관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 수정산 정상부에서는 거제평야와 서남쪽 해안선,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절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예고를 통해 문화재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를 알리고, 30일간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