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한양도성 숙정문 구간/사진=서울시 제공
조선의 수도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조성된 ‘한양의 수도성곽’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국내 최종 관문을 통과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7월 31일 열린 문화유산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에서 ‘한양의 수도성곽’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한양의 수도성곽’은 한양도성, 북한산성, 탕춘대성 등 세 개의 포곡식(包谷式) 성곽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복합유산이다.
행정 중심지인 한양도성, 방어 거점인 북한산성, 비상시 피난 및 식량 저장 기능을 담당한 탕춘대성이 각기 기능을 분담하며 수도 방어 체계를 완성하고 있다.
이 성곽군은 18세기 조선의 전략적 방어 체계를 고스란히 구현한 유산으로, 수도와 민간의 보호뿐 아니라 장기전에 대비한 구조까지 갖춘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앞서 ‘한양의 수도성곽’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예비평가를 통과하며 국제적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 다. 유네스코는 예비평가 제도를 통해 자문기구와의 사전 논의를 거쳐 등재 가능성을 검토하며, 지난해 10월 이 과정을 통과한 점은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기준 가운데 하나인 ‘기준 (ⅲ)’, 즉 “사라지거나 변화한 문명에 대한 독보적인 증거”를 충족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동북아시아 전통 성곽인 포곡식 구조의 창의적 계승 사례로 평가된다.
정부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등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2024년 9월까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등재신청서 초안을 제출하고, 2026년 1월 최종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등재신청 대상 선정은 세계유산 등재를 향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관련 지자체와 협력해 행정적·학술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