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긴급 출동 중인 119/사진=경제엔미디어
지난해 국민 5명 중 1명이 119에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지난 24일, 한 해 동안의 소방활동과 산업 동향을 집대성한 「2025 소방청 통계연보」를 발간·공개하며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번 통계연보는 2024년 소방활동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국가 차원의 소방 빅데이터 보고서다. 소방청 누리집을 통해 국민 누구나 열람할 수 있으며, 중앙부처와 국회, 언론기관에도 인쇄본으로 배포된다.
연보에 따르면, 2024년 119신고 건수는 총 1135만 건으로, 전년 대비 5.03% 감소했지만, 여전히 국민 약 5명 중 1명이 도움을 요청한 셈이다. 출동 유형별로는 △화재 출동 3만7614건(3.1% 감소) △구급 출동 332만4287건(4.6% 감소) △구조 출동 131만8837건(0.7% 증가)이었다.
특히 생활안전 분야 출동은 전년 대비 9.6% 증가한 66만975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벌집 제거 출동은 30.8% 급증한 30만4821건에 달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소방청은 이에 따라 ‘벌 쏘임 위험지수’ 프로그램을 통해 예방 및 대응 요령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소방산업의 성장도 통계로 확인됐다. 2024년 소방산업 총매출은 19조4676억 원으로, 전년보다 8093억 원(4.3%) 증가했다. 국제소방안전박람회 등 K-소방의 해외 홍보와 산업 육성 정책이 성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화재 예방과 안전관리 분야의 변화도 두드러졌다. 특정소방대상물 중 고층건축물(30층 이상)은 전년 대비 484개소(8.04%) 증가했으며, 초고층건축물(50층 이상)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도 26개소(5.4%) 늘어났다. 이는 도시 밀집화에 따라 초기 화재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국민의 안전 역량을 높이기 위한 소방안전교육 참여자도 전년보다 42만 명(10.4%) 늘어난 446만 명으로 집계됐다. ‘소화기·소화전·완강기 익히기’ 등 실생활 재난 대응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연보에는 국제 협력 현황도 포함됐다. 국제구조대 활동, 개발도상국 대상 소방장비 지원 실적 등이 함께 수록되어, 세계 무대에서 대한민국 소방의 위상을 수치로 보여준다.
이번 통계연보는 △화재 △구급 △구조 △생활안전 △예방 △교육홍보 △산업 △국제협력 등 8개 분야, 총 199개 세부 지표로 구성됐다. 최근 10년간의 연도별 데이터는 물론, 도표와 픽토그램 등 시각화 자료도 다수 포함되어 국민 누구나 쉽게 소방활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김형국 소방청 정보통신과장은 “통계연보는 소방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수행한 본질적 임무를 수치로 증명하는 자료”라며, “국민과 함께하는 열린 정보로서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