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지 기자
GC녹십자가 미국 자회사인 GC Biopharma USA가 ‘2025 국제혈전지혈학회(ISTH 2025)’에서 면역글로불린 제제의 점도(Viscosity)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학회는 미국 뉴저지에서 개최됐다.
면역글로불린 제제는 면역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며, 투여 시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켜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5종의 면역글로불린 제품을 대상으로 4℃에서 25℃까지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온도가 높아질수록 모든 제품의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실온(25℃) 투여 시 점도 관련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GC녹십자 ‘알리글로’ 제품/사진=GC녹십자 제공
연구진은 제품 간의 비교를 위해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표준화한 측정법을 적용해 점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면역글로불린 제제의 점도 및 순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은 혈전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제품을 선택할 때 중요한 안전성 지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발표를 맡은 GC Biopharma USA의 임상 교육 총괄 수잔 스트라스터스(Suzanne Strasters)는 “예비 결과지만 제품 간 점도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혈전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적합한 제제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임상적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이를 보다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연구는 ‘시판 중인 면역글로불린 제제의 점도 비교 연구’라는 제목으로 ISTH 학회의 포스터 세션을 통해 소개됐다. 분석 대상에는 GC녹십자의 알리글로를 포함해, 미국에서 유통 중인 OCTAGAM®, GAMUNEX®-C, PRIVIGEN®, GAMMAGARD LIQUID® 등 5종의 면역글로불린 제제가 포함됐다.
한편 알리글로는 미국 FDA로부터 17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차성 면역결핍증(PI) 치료제로 승인받은 10% 면역글로불린 제제다. 혈장분획 제제 분야에서 50년의 제조 경험을 보유한 GC녹십자는 현재 50여 개국에 다양한 바이오의약품을 공급하고 있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