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집값 상승 전망 42%…대출 규제에도 “오를 것” 우세 - 임대료도 45%가 인상 예상…20대 10명 중 7명 “집값·임대료 오른다”
  • 기사등록 2025-07-11 12:27:51
기사수정

한국갤럽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가 42%로 나타났다/사진=경제엔미디어

대출 규제 강화에도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여전히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젊은층은 집값과 임대료가 동반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가장 높았다.

 

한국갤럽은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42%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반면 “내릴 것”은 27%, “변화 없을 것”은 20%였으며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이번 결과는 최근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 금융위원회의 강력한 대출 규제 발표 이후에도 여전히 상승론이 우세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집값 상승론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0년 여름 무렵 60%대까지 치솟았다가, 2022년 대선 직후 급감해 한때 하락론이 70%에 육박했었다. 이후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규제가 완화되면서 2023년 들어 다시 상승론이 고개를 들었으나, 가계부채 부담으로 대출 규제가 재강화되면서 등락을 거듭해왔다.

 

2024년 들어서는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 노후주택 안전진단 면제 등 부양책과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연기 등이 맞물려 시장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23년 1월 이후 연 3.5%를 유지하다가 2024년 하반기부터 점차 인하돼 2025년 5월 현재 2.5%까지 내려왔다.

 

집값 못지않게 임대료 상승에 대한 우려도 컸다. 같은 조사에서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가 “오를 것”이라는 응답은 45%로, 집값 상승 전망보다도 더 높았다. “내릴 것”은 18%, “변화 없을 것”은 25%였고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은 지역별 수급 불균형, 전세사기 여파로 인한 반전세·월세 수요 증가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20대는 집값과 임대료 모두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70%에 달해 가장 높았다. 전문가들은 “높은 집값과 고금리로 전·월세마저 부담스러운 무주택·사회초년생들의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잘하고 있다” 35%, “잘못하고 있다” 25%, 의견 유보가 40%로 집계됐다. 집값·임대료 상승론자보다 하락·보합론자가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도 확인됐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변동성보다 안정성을 중시하는 여론이 여전하다는 해석이다.

 

부동산 정책 긍정 평가자들 중 51%는 “대출 한도 제한”을 긍정적 이유로 꼽았으며, “집값 안정화”(8%), “강력·실효적 대책”(5%), “투기 억제·갭투자 방지”(5%), “신속한 대응”(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정 평가자들도 35%가 “대출 한도 제한”을 문제로 지적해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어 “집값 상승 억제 실패”(19%), “실효성 부족”(4%) 등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번 조사에서 본인이나 배우자 명의로 집을 가진 ‘유주택자’ 비율은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에 그친 반면, 50~60대는 70%대를 기록했다. 정치 관심도가 높은 층일수록 유주택 비율이 높았으며, 고관심층은 66%, 무관심층은 35%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로 추출해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접촉률은 47.2%, 응답률은 11.7%였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제엔미디어=김혜숙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7-11 12:27:51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패랭이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