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질병관리청은 10일, 올해 온열질환자 수가 1228명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5배 급증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8일 하루에만 238명이 발생해 2011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도입 이래 최다 일일 발생을 기록했다. 누적 환자 수가 1천명을 넘은 시점도 7월 8일로, 역대 가장 이른 시기에 도달했다.
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두통·어지러움·근육경련·피로감·의식저하 등을 일으키며 방치 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6월 28일 이후 전국 평균 최고기온이 31도 이상을 기록하며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5월 15일부터 7월 8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1228명으로, 같은 기간 작년 486명보다 크게 늘었다. 사망자도 올해 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명) 대비 2.7배 증가했다.
이미지 제공=질병관리청
환자 발생 장소를 보면 실외에서 발생한 사례가 81.1%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특히 작업장(28.7%), 논밭(14.4%), 길가(13.9%) 등 야외 활동 중 발병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33.6%, 50대 이상이 61.1%를 차지해 고령층과 야외 근로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는 예년보다 폭염과 열대야가 빠르게 찾아와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농어민과 야외 작업자는 휴식과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어르신과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은 폭염과 열대야 속에서 건강이 악화될 수 있어 주변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특히 열대야가 지속되는 요즘, 다음과 같은 건강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취침 전 과식·알코올·카페인 섭취 자제, 규칙적 생활 유지 ▲수분은 자주 섭취하되 취침 직전 과도한 음료 섭취는 삼가 ▲수면 전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해 체온 낮추기 ▲무리한 고강도 운동 피하기 ▲실내 온도·습도 관리와 통풍이 잘 되는 잠옷 착용 ▲기상정보 수시 확인 및 규칙적인 수면 패턴 유지 등이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