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철 기자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 속에서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비브리오균 등 세균성 장관감염증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안전한 식품 섭취와 철저한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거듭 강조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6대 예방수칙/이미지=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4주간 살모넬라 감염자는 66명에서 127명으로, 캄필로박터 감염자는 58명에서 128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전국 210개 병원이 참여한 표본감시 자료에서도 여름철마다 세균성 장관감염증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됐다.
살모넬라 감염은 주로 달걀이나 가금류 등을 통해 발생한다. 질병청은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 냉장 보관하고, 깨뜨린 뒤에는 가급적 빨리 충분히 가열해 섭취할 것을 권고했다. 또 달걀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캄필로박터균은 주로 덜 익힌 생닭이나 오염된 물로 전파된다. 생닭 손질 시 교차오염을 막기 위해 세척은 조리 마지막 단계에서 하고, 튄 물이 다른 식재료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가금류는 반드시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하단에 보관해야 한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6월 누적 환자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약 30% 증가했으며, 비브리오패혈증도 5월 첫 환자 발생 이후 추가 환자가 보고됐다.
특히 비브리오균은 수온 18도 이상의 해수에서 활발히 증식해 8~9월 사이 급증할 가능성이 큰 만큼, 만성 간질환자나 당뇨병 환자는 바닷물 접촉이나 익히지 않은 어패류 섭취를 피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장관감염증 예방법으로 ▲음식 충분히 익혀 먹기 ▲조리 전·후, 외출 후, 화장실 이용 후 손 씻기 ▲식재료는 깨끗이 씻어 사용하기 등을 제시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여름은 평년보다 무더울 것으로 예측돼 장관감염증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며, “특히 같은 음식을 먹은 뒤 2명 이상이 설사나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제엔미디어=장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