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숙 기자
서울 노원구가 상계한신3차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신속통합기획’ 방식으로 본격 추진한다.
노원구는 지난 3일 서울시에 신속통합기획 계획안 자문을 신청했으며, 계획안에는 용적률 299.5%를 적용해 최고 35층, 총 467세대 규모로 단지를 재건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노원구 상계한신3차 아파트
상계한신3차는 기존 15층, 348세대의 소규모 단지였으나, 이번 재건축에서는 ‘사업성 보정계수’ 최대치를 적용해 허용 용적률을 높였다. 이를 통해 임대주택 비율을 낮추고 일반분양 물량을 늘려 사업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노원구에는 2025년 기준 30년 이상 된 노후 공동주택(200세대 이상)이 73개 단지, 약 8만 3천 세대에 달한다. 구는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안전진단 비용 선지원, 재건축 규제 완화 등 제도 개선과 민관 협력을 병행해왔다.
그러나 안전진단 문턱 완화 이후 금리 상승과 분양시장 위축으로 전반적인 사업 추진 동력은 다소 약화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노원구는 지난 2022년부터 ‘재건축·재개발 신속추진 포럼’을 운영하며 민간과의 소통을 강화해 왔고, 점차 속도를 내는 단지들이 등장하고 있다.
상계한신3차는 노원구에서 서울시에 신속통합기획을 신청한 네 번째 단지로, 현재 추가로 7개 단지가 구청에 계획안을 접수해 서울시 자문 신청을 준비 중이다.
이에 따라 구내 총 11개 단지가 신속통합기획을 추진하고 있다. 신속통합기획은 정비계획 수립 초기부터 서울시가 사전 자문을 제공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기간을 단축하는 제도다.
특히 지난해 12월 법 개정으로 올해 6월부터는 정비구역 지정 전에도 추진위원회 구성이 가능해졌고, 재건축 안전진단 실시 시점도 사업시행계획 인가 전까지로 확대돼 사업 추진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 관계자는 “사업성 보정계수와 같은 제도적 장치가 일정 부분 효과를 보고 있다”며, “현실적인 사업성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11개 단지가 신속통합기획을 추진하는 가운데, 향후 인근 단지들로 재건축 확산 흐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김혜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