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전 세계 한국문화원이 없는 52개 도시와 국가를 대상으로 현지 주민과 함께하는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을 연중 개최한다.
이는 기존에 한국문화원이 설치된 도시 중심으로 운영돼오던 ‘찾아가는 케이-컬처’ 사업을 전면 확대·개편한 것으로, 한류의 지리적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글로벌 문화 접점을 넓히기 위한 취지다.
문체부는 올해 한국문화원이 없는 33개 도시를 직접 찾아가 문화행사를 열고, 문화원이 없는 19개국에서도 재외공관과 협력해 ‘한국문화종합축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현지 정부, 대학, 세종학당 등과의 협력을 통해 체험 중심의 ‘찾아가는 한류’를 실현하며, 미래세대의 한국문화 접점을 확대하고 장기적 한류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2025 아르메니아 한국문화제/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주요 사례로 주일본한국문화원이 오는 10월 일본 미야자키현에서 개최하는 ‘한국문화 페스티벌 2025’가 있다. 이 행사에서는 지역 고교생의 아리랑 합창과 국악·클래식·태권도 공연 등이 펼쳐져 비수도권 주민과 청소년을 아우르는 문화교류의 장이 마련된다.
또 태국 콘깬대학교에서는 지난 6월 한복 체험과 한식 시식, 공연이 포함된 ‘한국문화보부상’ 행사가 성황리에 열렸고, 베트남 다낭과 후예,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영국 맨체스터·셰필드·리버풀 등에서도 다양한 한국문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업은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며 지방정부, 대학, 문화기관, 민간기업 등과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주오스트리아한국문화원은 그라츠시와 함께 ‘그라츠 한국문화축제’를 주멕시코한국문화원은 베라크루스 주정부와 공동으로 ‘어울림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주워싱턴한국문화원은 연극 <김씨네 편의점> 메릴랜드 공연과 연계해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LA한국문화원은 미국 푸드엔터테인먼트 기업 ‘컵밥’과 손잡고 2025년 유타 코리안 페스티벌을 기획 중이다.
이외에도 에콰도르, 파키스탄, 아일랜드 등 한국문화원이 설치되지 않은 19개국에서 재외공관 주관으로 지역 맞춤형 문화 행사가 다채롭게 열릴 예정이다.
윤양수 문체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어울림 한국문화페스티벌’은 현지 기관과 협력해 한국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라며, “앞으로도 세계 어느 도시에서든 K-컬처를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외교의 폭을 넓히고 지속 가능한 한류 확산 기반을 다져가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