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국내 드론배송 서비스가 전국으로 본격 확대된다. 항공안전기술원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을 통해 지난 4월부터 전국 각지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시했다고 3일 밝혔다.
드론 배송 거점 및 드론 자동 점검 시스템/사진=항공안전기술원 제공
올해 드론배송 서비스에는 지난해에 이어 양주시, 성남시, 포천시, 인천광역시, 공주시, 서산시, 남원시, 여수시, 김천시, 통영시, 울주군, 창원특례시, 제주특별자치도 등 13곳이 참여하고, 시흥시, 안양시, 이천시, 원주시, 보령시, 대전광역시, 김제시, 고흥군, 영주시, 상주시 등 10곳이 새로 합류해 총 23개 지자체로 확대됐다.
현재 전국에 61개의 배송 거점과 229개의 배달점이 구축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국 단위 드론배송망이 속속 자리 잡고 있다.
항공안전기술원은 각 지자체가 원활히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전담 PM 제도를 운영하고, 정기·수시 점검을 통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각 지역의 지형이나 환경 등 특성에 따른 위험요소를 분석해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체계적 관리에 나서고 있다.
드론배송 인프라 구축도 가속화되고 있다. 각 지자체는 ‘K-드론배송 표준안’을 적용해 GPS 기반 좌표 설정, 컨테이너 및 이착륙장 등 시설 설치, 비행로 설계 및 검증, 드론 식별·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드론 기체 자동 점검 시스템과 배터리 안전함이 새로 도입돼 여름철 폭염이나 과열 사고에 대비하는 등 안전 관리가 한층 강화됐다.
또한, 비가시권·야간 비행에 대해 최대 6개월까지 특별비행승인을 받을 수 있어 물류 취약 시간대나 장거리 배송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주민과 관광객들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드론을 통해 물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부터 드론배송 서비스를 이어온 13개 지자체는 주민 의견을 반영해 배송 품목을 다양화하고, 배송 가능 무게를 늘리는 등 맞춤형 서비스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더불어 드론 순찰, 보건의료 물자 운송, 공공물품 배송 등으로 서비스가 확대되며 주민 생활 편의와 안전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다.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은 “K-드론배송 서비스가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생활 물류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더 많은 지역에서 드론배송이 상용화돼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