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태 기자
서울 중랑구 소재 고교 모습/사진=경제엔미디어
교육부가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줄이고 수행평가 본연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올해 2학기부터 수행평가 운영 방식을 개선한다고 2일 밝혔다.
수행평가는 1999년 도입돼 암기 위주 지필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 발달을 지원해 왔다.
그러나 최근 수행평가가 지나치게 많아지거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면서 학생과 학부모 사이에서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에 교육부는 우선 모든 수행평가를 수업시간 내에 실시하는 원칙을 철저히 적용하고, 외부 도움에 의존하는 과제형 수행평가와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는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각 학교는 자체 점검표로 부담 요인을 개선하고, 시도교육청은 매 학기 학교별 평가 계획을 엄격히 점검할 예정이다.
또 7~8월 중에는 시도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 운영 지침과 유의 사항을 안내해 현장 혼란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협력을 강화해 수행평가 운영상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필요 시 관련 지침도 개정할 계획이다.
김천홍 교육정책관은 “수행평가는 단순 시험을 넘어 학생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중요한 교육 과정”이라며, “학교가 수업과 평가 본연의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소통하며 제도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전현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