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이끌 차세대 소재 확보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6일(현지시각)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커스프AI(CuspAI) 본사에서 커스프AI와 소재 AI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커스프AI 채드 에드워즈(Chad Edwards) CEO와 현대자동차그룹 박철 신사업전략실장이 파트너십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이번 협약식에는 현대자동차그룹 박철 신사업전략실장, 커스프AI 채드 에드워즈(Chad Edwards) CEO, 맥스 웰링(Max Welling) CTO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소재의 효율성·내구성·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신소재 발굴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전동화·자율주행·수소에너지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 전반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최근 다양한 산업에서 주목받는 ‘과학을 위한 AI(AI for Science)’ 패러다임은 AI 기술을 과학 연구에 접목해 혁신을 가속화하는 접근법이다. 인공지능이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물질 구조나 단백질 서열 등을 설계함으로써, 기존 신소재나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업을 통해 이러한 AI 기반 과학 연구 역량을 확보,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의 생산성과 혁신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철 현대자동차그룹 신사업전략실장은 “소재 기술은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AI를 통한 과학적 접근으로 기존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과제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차세대 소재를 확보해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채드 에드워즈 커스프AI CEO는 “차세대 소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실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며, “세계적인 제조 전문성을 갖춘 현대자동차그룹과 협력함으로써 그 미래를 더욱 빠르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커스프AI는 생성형 AI·딥러닝·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소재 개발 과정을 효율화하고, 특정 목적에 맞는 최적의 재료를 신속히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의 첨단 AI 스타트업이다.
[경제엔미디어=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