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웅제약, ‘CPHI 2025’서 마이크로니들·바이오시밀러 글로벌 협력 본격화 - 혁신 제형·바이오시밀러 중심 차세대 성장동력 강화 - 펙수클루·엔블로 등 신약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 기사등록 2025-11-05 10:42:14
  • 기사수정 2025-11-05 10:42:43
기사수정

대웅제약은 오는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 ‘2025 CPHI Worldwide’에 참가해, 마이크로니들 제형 플랫폼과 바이오시밀러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파트너링 및 시장 확장에 나섰다고 5일 밝혔다.

 CPHI 2025, 대웅제약 부스 전경/사진=대웅제약 제공

이번 전시회에서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와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 등 주력 혁신 신약은 물론, GLP-1 마이크로니들 및 바이오시밀러 등 차세대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협력 및 계약을 추진했다. 특히 지난해 ‘CPHI 2024 밀라노’ 참가 성과를 기반으로 한층 강화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주력했다.

 

이번 전시에서 주목받은 핵심 기술은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반 약물전달 플랫폼이다. 이 기술은 피하 주사제를 대체할 수 있는 패치형 제형으로, 통증 최소화 및 자가 투여 용이성을 통해 환자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최근 생체이용률 개선 성과로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세마글루타이드(GLP-1 유사체) 기반 비만 치료제, 성장호르몬, 보툴리눔 톡신 등 다양한 치료 영역으로 확장 중이다.

 

대웅제약은 또한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유럽, 미국 등 주요 선진시장을 대상으로 글로벌 자체 개발, 공동개발, 라이선스 인(license-in), CDMO 협력 등 다양한 사업모델을 전개하며 경쟁력을 강화 중이다. 최근 바이오시밀러 분야 권위자인 홍승서 박사를 BS(바이오시밀러) 사업본부장으로 영입해 조직 역량을 높였으며, 장기적으로는 혁신 제형 플랫폼과 결합한 ‘바이오베터’ 전략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와 엔블로를 중심으로 미국·유럽 등 선진국은 물론 중남미·러시아·중동·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에서도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다. 두 신약은 대웅의 ‘1품 1조(1개 품목 매출 1조 원)’ 전략 실현의 핵심 제품으로, 이번 전시회에서도 여러 국가 및 제약사와의 협의를 활발히 진행했다.

 

한편 대웅바이오도 대웅제약과 공동 부스를 운영하며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및 원료의약품(API) 수출 확대에 나섰다. 행사 기간 동안 글로벌 CDMO 잠재 고객사 25곳과 미팅을 진행, 신규 고객을 확보했으며, 약 174억 원 규모의 원료의약품 수출 확대를 추진했다. 또한 원료 공급망 다변화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생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CPHI Worldwide’는 전 세계 150여 개국 2500개 이상 제약기업이 참가하는 글로벌 제약산업 최대 규모 전시회다. 매년 4만여 명의 업계 전문가, 투자자, 규제기관, 파트너사가 참석해 원료의약품, CDMO, 제형기술, 완제의약품, 패키징 등 제약 전 분야의 트렌드를 공유한다. 올해 행사에서도 전시 부스 운영, 기술 발표, 1:1 비즈니스 미팅, 최신 산업 및 규제 세미나 등이 진행됐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CPHI 참여는 단순한 기술 홍보를 넘어 글로벌 파트너들과 구체적인 사업 논의가 이루어진 성과 중심의 전시였다”며, “마이크로니들 기반 혁신 제형과 바이오시밀러 등 미래 성장동력을 앞세워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11-05 10:42:14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코스모스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