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지 기자
동아에스티 사옥 전경/사진=동아ST 제공
동아에스티가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전문의약품(ETC) 부문 호조에 힘입어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연구개발(R&D) 비용 증가와 지난해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29일 동아ST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은 1984억 원으로 전년 동기(1795억 원) 대비 10.5%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68억 원으로 같은 기간 15.4% 줄었다.
ETC 부문은 그로트로핀과 모티리톤 등 기존 주요 품목과 자큐보, 디페렐린 등 신규 제품의 매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한 1453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자큐보는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며 전년 7억 원에서 143억 원으로 급증했다.
반면, 해외사업 부문은 박카스 매출 소폭 감소와 이뮬도사의 상반기 재고 영향으로 11.0% 감소한 409억 원을 기록했다. 주요 제품별로는 캔박카스 219억 원(-1.3%), 이뮬도사 50억 원(-33.5%), 다베포에틴알파BS 43억 원(0.3%), 에보글립틴 40억 원(+108.2%) 등이다.
3분기 영업이익 하락은 R&D 비용 증가와 지난해 상반기 조기 집행으로 인한 기저효과 영향이 컸다. 회사는 올해 3분기 R&D에 264억 원을 투입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203억 원) 대비 약 30% 증가한 수준이다.
동아ST는 "연구개발 중심 체질 강화 과정에서 단기 수익성은 다소 둔화됐지만, 중장기적으로 신약 파이프라인 경쟁력 확보가 목표"라고 설명했다.
R&D 부문에서는 글로벌 임상 단계 신약 후보군의 진척이 이어졌다.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를 통해 진행 중인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DA-1241'은 글로벌 임상 2a상을 완료했으며, 간 손상과 지방간 지표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 데이터는 2025년 11월 미국간학회(AASLD)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비만 치료제 'DA-1726'은 글로벌 임상 1a상에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으며 체중 감량 효과도 입증됐다. 2025년 7월 최대 내약 용량 탐색 추가 임상 1a상 실시 후 12월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계획이다.
치매치료제 'DA-7503'과 면역항암제 'DA-4505'는 국내 임상 1a상 단계에 있으며, 차세대 ADC(항체-약물 접합) 신약 개발을 위해 인수한 앱티스의 기술을 활용해 위암·췌장암 타깃 ADC 후보물질 'DA-3501' 전임상을 완료했다. 회사는 2025년 6월 임상 1상 IND를 신청할 예정이다.
주요 제품별 실적은 그로트로핀 360억 원(+6.6%), 모티리톤 97억 원(+4.5%), 타나민 34억 원(+27.8%), 슈가논 64억 원(-3.6%)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동아ST가 신약 파이프라인에 집중 투자하며 미래 성장동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R&D 비용 증가로 수익성 부담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