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지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늦여름 폭염과 해수온도 상승에 따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국민들에게 일상생활 속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5일 당부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 건수는 이전 5년 대비 약 83%(52건→9건) 감소했으나, 여름철(7~9월)에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장염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15℃ 이상이면 증식이 시작되며 20~37℃에서 활발히 증식한다.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섭취할 경우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주로 5월에서 10월 사이에 증식하며, 오염된 어패류 섭취나 상처 부위가 오염된 바닷물에 닿을 경우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만성 간질환 등 기저질환자가 감염되면 사망률이 50%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약처는 국민들이 비브리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패류 구입‧조리‧섭취 과정에서 위생을 철저히 하고, ‘손보구가세’(손씻기, 보관온도 준수, 구분 사용, 가열 조리, 세척·소독) 등 5대 예방수칙을 적극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브리오 예측시스템(PC, 모바일 모두 가능) / 해수욕장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정보/이미지=식약처
또한,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 정보는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며, PC와 모바일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주요 낚시터, 해루질 포인트, 해수욕장 등에 대한 예측 정보도 실시간으로 공개되고 있어 여행객들이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여행이나 해수욕장 방문 전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을 확인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안전한 여름을 보내는 길”이라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계절별 식중독 예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엔미디어=박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