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도심 속 자연 생태계...소금쟁이 - 물 위의 곡예사, 소금쟁이의 비밀
  • 기사등록 2025-08-24 07:00:01
기사수정

도심 하천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소금쟁이/사진=경제엔미디어

물 위를 가볍게 미끄러지듯 이동하는 소금쟁이는 노린재목 소금쟁이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곤충이다. 

 

수컷의 몸길이는 11~14mm, 암컷은 13~16mm로 비교적 작지만, 다리의 구조와 표면장력 활용 능력 덕분에 누구나 아는 ‘수면 위 곡예사’로 불린다. 

 

몸빛은 흑갈색 또는 검정색 바탕에 갈색 무늬가 있으며, 은빛 잔털이 조밀하게 덮여 있어 물에 젖지 않는다. 머리에는 ‘V’자 모양의 무늬가 선명하다.

 

소금쟁이의 가운데다리와 뒷다리는 길고 가늘어 물 위에서 추진력을 얻고, 발에 난 기름 성분의 잔털은 물을 퉁기며 부력을 유지하게 한다. 

 

반면 짧은 앞다리는 먹이를 붙잡는 데 쓰인다. 이들은 주로 물 위에 떨어진 곤충의 체액을 빨아먹으며, 파동을 감지해 먹이를 찾아내는 독특한 사냥 방식을 지녔다.

 

소금쟁이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하천과 연못 같은 흐름이 잔잔한 물에서 쉽게 발견된다. 

 

특유의 냄새를 풍기기도 하는데, 일부 지방에서는 그 향이 달콤하게 느껴진다 하여 ‘엿장수’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소금쟁이의 다리 움직임을 모사한 초소형 수상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국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물 위를 유유히 걷는 소금쟁이는 단순한 곤충을 넘어 자연과 과학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경제엔미디어=온라인팀 ]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8-24 07:00:01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포인세티아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천사의 나팔꽃
  •  기사 이미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코스모스
최신뉴스더보기
한얼트로피
코리아아트가이드_테스트배너
정책브리핑_테스트배너
유니세프_테스트배너
국민신문고_테스트배너
정부24_테스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